본문 바로가기

구상성단10

M92 구상성단 M92는 1777년 요한 엘러트 보데(Johann Elert Bode)가 처음으로 발견하였고, 이를 “성운 모양의 별의 무리”로 기록했다. 샤를 메시에(Charles Messier)가 1781년 독립적으로 발견하고 메시에 목록에 등재했다. 겉보기등급이 6.5로 비교적 밝고, 지구로부터 거리는 약 26,700광년, 실제 크기는 약 100광년이다. 각지름 약 15분으로 비교적 큰 구상성단이지만 M13에 비해 인기가 덜한 편이다. M13보다 중심 밀집도가 높고 중심이 더 밝다. M13의 나이는 약 120억 년인데, M92의 나이는 약 137억 년으로, 우주에서 가장 오래된 성단 중 하나이다.- Place: 화천 2025-07-25- Mount: SONA 25-25, Pier- Telescope: EdgeHd .. 2025. 8. 4.
M71 구상성단 M71은 화살자리 중간에 위치한 곳에 있는 구상성단이다. 매우 밀집된 산개성단으로 논쟁이 있었으나 현재는 구상성단으로 분류된다. M71은 의미한 별들의 배열이 열대어 엔젤피시(Angel fish)와 비슷하게 보인다고 해서 “엔젤피시 성단(Angelfish Cluster)”이라는 별칭이 있다. 겉보기등급 8.2등급, 각지름 약 7.2′이며, 약 13,000광년 거리에 있는 M71은 1746년 스위스의 천문학자 필립 뤼 드 셰조(Philippe Loys de Chéseaux)가 발견하고, 1780년 샤를 메시에가 이를 목록에 등록했다. 나이는 약 90억 년~100억 년으로 다른 구상성단보다 젊은 편이다. - Place: 화천 2025-07-25- Mount: SONA 25-25, Pier- Telescope.. 2025. 8. 1.
M56 구상성단 거문고자리 M57에서 백조자리 방향으로 약 5도 남짓 떨어진 자리에 M56 구상성단이 있다. M56은 1779년 1월 23일 샤를 메시에가 발견했는데 당시 망원경으로는 별로 분해되지 않아 “별이 없는 성운”으로 기록했다. 5년 뒤 윌리엄 허셜이 별들로 이루어진 성단임을 확인했다. M56의 겉보기등급은 8.3등급이고 각지름은 약 8.8′ 크기이다. 거리는 약 32,900광년 떨어져 있고, 나이는 약 131억 년 되는 오래된 구상성단이다. 별 개수는 약 8만 개, 23만 태양 질량으로 관측되고 있다. - Place: 연천 2025-06-03- Mount: SONA 25-25, Pier- Telescope: EdgeHd 9.25 + Celestron 0.7x Reducer- Camera: ZWO ASI26.. 2025. 8. 1.
M5 - Place: 연천 2025-06-03- Mount: SONA 25-25, Pier- Telescope: EdgeHd 9.25 + Celestron 0.7x Reducer- Camera: ZWO ASI2600MC Pro- Guide: Askar OAG + ZWO ASI220MM Mini, ZWO ASIair Plus Guiding- Exposure: Gain 100, -10℃ 60s x 80f- Software: SiriL, Photoshop달빛과 가로등 불빛 사이에서 희미한 별빛을 모은다. 2025. 6. 19.
M13 구상성단 - Place: 화천 2025-05-24 - Mount: SONA 25-25, Pier - Telescope: EdgeHd 9.25 + Celestron 0.7x Reducer - Camera: ZWO ASI2600MC Pro - Guide: Askar OAG + ZWO ASI220MM Mini, ZWO ASIair Plus Guiding - Exposure: Gain 100, -10℃ 120s x 62f - Software: SiriL, Photoshop 2025. 5. 28.
M3, 구상성단 - Place: 강화 - Mount: SONA 25-25, Pier- Telescope: EdgeHd 9.25 + Celestron 0.7x Reducer- Camera: ZWO ASI2600MC Pro - Guide: Askar OAG + ZWO ASI174MM Mini, ZWO ASIair Plus Guiding- Exposure: Gain 100, -10℃ 120s x 123f, Total 4h 6m- Software: SiriL, PhotoshopCelestron 0.7x Reducer를 연결하니 EAF에 간섭이 생긴다. 한 1mm정도 갈아야 해서 EAF를 빼고 바흐티노프로 초점을 맞춰 촬영, 바람때문에 30~40%는 버린 듯 2025. 3. 30.
M3, 구상성단 목동자리에 있는 구상성단 M3밝은 성단이라 서울에서도 볼 수 있다.북두칠성의 알카이드와목동자리의 아르크투르스 중간 부근에서파인더로 훑어보다 보면 M3의 흔적을 찾을 수 있고10인치 급만 되더라도 아이피스로뚜렷한 형체를 관측할 수 있다.M3- Mount: SONA 25-25, Pier- Telescope: GSO 8RC + Solomon 0.8 Reducer- Guide: Askar Oag + ZWO ASI174MM mini, ZWO ASIair Pro Guiding- Camera: ZWO ASI2600MC Pro- Exposure: Gain 100, -10℃, 120s x 42, dark 50, bias 50, flat 20- Software: Sirilic, SiriL, Photoshop 2023. 5. 21.
M13 안시의 매력에 눈뜨게 해준 M13 소백산에서의 첫 대면은 마치 심봉사가 개안한 느낌이랄까, 밤하늘에 이처럼 아름다운 보석이 있을 줄이야 별빛이 눈에 들어오자마자 저절로 나온 감탄사 그것을 보여 준 선생님의 눈빛에 서린 흐믓함 아직도 그날의 감동과 기억이 잊혀지지 않는다. ​ 독수리성운의 별빛을 담아보려고 나온 강화의 밤, 투명도가 좋지 않은 하늘이지만 별자리 선을 연결할 만큼 보인다. 독수리가 뜨기엔 아직 이른 시간이라 잠시 M13을 담아보기로 한다. 천정 근처에 있지만 비네팅이 보일 만큼 좋지 않다. 1시간가량 찍고 철수 전에 플랫을 찍는데 중앙에 검은 부분이 있다. 히터를 안 켰는데, ​이슬이 생겼나 보다. 플랫 적용을 안 하니 비넷이 더 심해지고, 장수가 적으니 노이즈가 가득한데 크롭을 하니 그냥 .. 2022. 6. 5.
M3 - 촬영 장소: 강화- 망원경: EDT115mm + 0.8 리듀서- 가대: Az EQ6-GT- 카메라: (Lpf 제거)600D- 촬영 노출: ISO 800, 2시간 20분 - 가이드: 62mm롱펑, ASI178MC, PHD2 가이드 M3 구상성단. 목동자리가 일어나는 1월의 새벽녘 2019. 1. 26.